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Article 22. 에펠탑은 왜 철골 구조로 만들었을까? 에펠탑은 철골구조로 만들어진 건축물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건축물은 석조 건축물인거와 비교하면 차이가 있다. 그러면 에펠탑은 왜 이런 철골 모양으로 만들어졌을까? 에펠탑 (Tour Eiffel) 에펠탑은 프랑스 파리 마르스 광장에 위치한 격차형 철골타워이다. 에펠탑은 사실 "구스타프 에펠"을 따서 에펠탑이 되었지만 에펠이 아이디어를 낸 사람은 아니다. 1884년 에펠 회사는 마시프 센트럴에 있는 가라비트 고가교의 대형 철제 아치를 방금 완성하면서회사의 전문성의 탁월함을 강조한 웅장한 업적이 되었다. 그리고 에펠이 건설한 자유의 여신상은 파리에서 거의 완성되어 대서양 반대편으로 운반될 준비가 되고 있었다. 프랑스 혁명 100주년과 프랑스의 산업 강국을 기념하기 위해 1889년에 열릴 예정이었던 만국 박.. 2025. 4. 19.
Article 21. 빙하가 녹은 물은 왜 에메랄드 빛일까? 빙하가 녹은 강이나 호수는 파란색이 아닌 에메랄드 색깔을 띠고 있다.  필자가 직접 본 뉴질랜드 퀸스타운의 세계최초 번지점프 브리지 아래에는 빙하가 녹은 카와라우 강물이 에메랄드 색깔을 띠고 흐르고 있고, 일본 훗카이도 비에이 지역의 흰수염 폭포 아래의 강도 에메랄드 색깔의 띠고 있다.   심지어 빙하가 녹은 물 뿐만 아니라 뉴질랜드의 산위에 있는 폭스 빙하도 에메랄드 색깔을 띠고 있다. 왜 일반적인 강이나 바닷물 처럼 푸른색이 아니고 에메랄드 색깔일까? 먼저 물의 색깔부터 알아 보자 1. 물, 바닷물의 색깔 컵에 따른 물은 투명하다. 그래서 우리는 물은 색깔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호수나 강, 바다는 투명하지 않고 파란색으로 보이고 깊을수록 더 진해진다.     호수나 강, 바다가 바닥이 있어 투명.. 2025. 4. 12.
Article 20. 시간여행은 가능할까? 시간여행은 우리가 꿈꾸기도 하고 많은 영화의 단골 소재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간여행이 이론적으로 가능한지 알아보자.  사실 힘이 빠지는 이야기일수도 이지만, 우리는 모두 시간여행을 하고 있다. 1초당 1초로 같은 속도로 시간여행을 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말하는 시간여행은 1초보다 더 빨리가는 시간여행을 생각하고 있을것이다.  시간여행을 하기 위해서는 타임머신이 필요한데 타임머신에 대한 아이디어는 H. G. 웰스의 ' Tme Machine '(1895) 에서 언급되었다.    시간여행이 상상에서 과학적 이론으로 제시된 건 20세기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1905년)이 나오면서 논란이 되기 시작했다.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시간의 흐름은 당사자가 얼마나 빨리 움직이느냐에 달려 있.. 2024. 9. 9.
Article 19 (Part 2). 우리의 공간은 휘어져 있다. 우리의 공간은 휘어져 있고, Part 1에서 중력과 가속도가 같고, 가속도는 공간에 의해서 달라진다는것을 알았다. 그러면 Part 2 에서 가속도와 중력은 어디서 나오는 것인지 알아 보도록 하자. Part 11. 등가의 원리(중력과 가속도)2. 가속도Part 23. 일반 상대성 이론4. 휘어진 공간5. 중력에 의한 시간차이  3. 일반 상대성 이론  그러면 왜 떨어지는 것일까? 지구가 만들어내 휜 공간에 자연스럽게 흘러가고 있는것이다.뉴턴은 1687년 프린키피아에서 "질량이 큰 물체가 작은 물체를 끌어당긴다" 라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제시하였지만 중력이 어디에서 오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했다.    1916년 아인슈타인은 중력과 가속도는 같다는 등가의 원리와 우리의 공간이 휘어져 있어 휘어진 만큼 원주율.. 2024. 8. 3.
Article 19 (Part 1). 우리의 공간은 휘어져 있다. 우리의 공간은 휘어져 있다면 이해가 되는 사람은 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익숙해서 인지를 못할뿐이지 휘어진 공간에서 살고 있다. 그 원인은 중력에 있다. 인공위성이 왜 떨어지지 않알까에서 중력에 대해서 알아 보았지만 조금더 알아 보도록 하자 Article 14. 인공위성은 떨어지지 않고 어떻게 계속 돌고 있을까? Article 14. 인공위성은 떨어지지 않고 어떻게 계속 지구를 돌수 있을까?인공위성은 떨어지지 않고 어떻게 계속 지구를 돌수 있는지 아래 순서대로 알아보자 1. 케플러의 발견2. 갈릴레오의 관성의 법칙3.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4. 인공위성이 떨어지지 않고 지구를science-scandal.tistory.com    Part 1에서는 중력과 가속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Part 2에서 일.. 2024. 7. 20.
Article 18 (Part 2). 투명 망토는 가능할까? Part 1에서 투명 망토가 되는 조건들에서 이야기를 했다. Part 2에는 투명망토기술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이야기해보자 Part 11. 투명이 되는 조건2. 투명망토의 원리3. 빛의 굴절4. 음의 굴절률Part 24. 메타 물질5. 카펫 망토6. 투명망토 사진들의 원리  4. 메타물질 (Metamaterial)  메타라는 말을 요즘 많이 들어봤을것 같다. 메타 물질(Metamaterial)은 간단하게 자연에서 만들수 없는 특성 즉 굴절률을 자연계의 물질로 설계된다. 메타물질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같은 일반물질로 형성된 복합 요소 집합체로 파장보다 작은 규모의 반폭패턴으로 설계된다는 것이다.  메타물질의 특성은 기본 물질의 특성이 아니라 그들의 구조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메타물질이 정확한 모양, 기하학적 .. 2024. 6. 23.
Article 18 (Part 1). 투명 망토는 가능할까? 해리포터에서 해리포터가 투명 망토를 입고 가는 장면이 나온다. 투명망토는 해리포터가 없는것처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것이다. 여기서 좀 더 생각해 봐야할 것은 망토가 투명하면 해리포터가 보여야 하는데 해리포터를 보이지 않게 하는 기능이다.사람이 사물을 인지하는 원리는 Article 1에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Article 1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을 반사한다. Article 1 (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흔히들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시킨다고 한다.그런데, 검은색이라서 흡수하고 흰색이라서 반사하는 것이 아니다.주객이 전도된 표현이다.정확한 표현은 빛이 다 흡수가 되면 검은색으science-scandal.tistory.com    P.. 2024. 6. 20.
Article 17 (Part 2).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 계란판은 방음이 되는지 Part 1에 이어서 Part 2에서 알아 보도록 하자 Part 11. Sound  란2. Sound 전달 원리3.흡음 (Sound absorption)Part 24.실내 음향5.방음(Soundproof)의  Foam6.계란판은 방음에 효과가 있을까?7.최근 계란판을 활룡한 방음연구  4. 실내 음향 음향의 특성 및 흡음을 반영하여 공연장의 실내 홀의 목적 및 용도에 맞게 크기, 천장, 바닥, 벽, 확산판, 반사판 등을 설계한다.     무대에서 음향의 반사를 위해 홀의 크기에 따란 반사판의 모양과 각도 그에 맞게 설계한다.  내부 홀도 무대와 목적에 따라 그에 맞는 흡음과 반사가 되도록 설계한다.  5. 방음(Soundproof)의  Foam 방음은 음파가 공간으로 들어오거나 나.. 2024. 6. 8.
Article 17 (Part 1).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고 알고 있다. 진짜 되는것일까? 우선 음향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자.Part 11. Sound  란2. Sound 전달 원리3.흡음 (Sound absorption)Part 24.실내 음향5.방음(Soundproof)의  Foam6.계란판은 방음에 효과가 있을까?7. 최근 계란판을 활룡한 방음연구    1. Sound 란? 소리는 빛과 같은 파동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맥스웰이 전자기파 속도를 계산하고, 빛의 속도와 전자기파의 속도가 같다는것을 알고 빛은 온전한 모습이 아니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이루어진 전자기파의 일부라고 하였다.  이런 맥스웰 이론은 그가 세상을 떠난 후인 1888년, 하인리히 헤르츠가 전자기파를 발견하고 빛이 전자기파로 완전하게 입증 되었다. 당시 전자기파는 헤르츠.. 2024.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