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Scandal 1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

 

Scandal 1 (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

흔히들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시킨다고 한다.그런데, 검은색이라서 흡수하고 흰색이라서 반사하는 것이 아니다.주객이 전도된 표현이다.정확한 표현은 빛이 다 흡수가 되면 검은색으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 (Part 2).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

 

Scandal 1 (Part 2).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

Part 1에 이어서  그 원리를 보어의 원자 모델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Part 1    1. 빛의 특성 2. 색깔이 나타나는 원리 3. 빛의 흡수   Part 2    4. 보어의 원자 모델  5. 에너지 간격(Bandgap)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2 (Part 1). 무지개는 아치형이다.

 

Scandal 2 (Part 1). 무지개는 아치형이다

하늘에 무지개를 보는 일은 흔하지 않다. 그러나 폭풍이 지나가면 자주 나타나다 보니 무지개는 좋은 징조로 해석되기도 한다. 지상과 하늘을 영역을 잇는 다리, 흔히들 "무지개 다리"라고도 이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2 (Part 1). 무지개는 아치형이다.

 

Scandal 2 (Part 2). 무지개는 왜 아치형태 일까?

무지개의 원리와 왜 아치형으로 생기는지에 대해서 Part 1에서 설명을 했다Part 2에서는 쌍무지개와 3중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는지 알아보자 Part 1  1. 무지개의 원리2. 무지개는 왜 아치형 일까?Par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3. 레이저 포인트는 주로 빨간색을 사용한다.

 

Scandal 3. 레이저 포인트는 주로 빨간색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는 빨간색을 많이 사용한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트도 빨간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빨간색 뿐만 아니라 초록색, 파란색도 있다. 레이저에 빨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4. 창문이나 현관 문은 이중으로 한다.

 

Scandal 4. 창문이나 현관 문은 이중으로 한다.

창문은 이중창으로 현관문은 중문까지 설치하고 건물의 입구도 이중문으로 한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열의 이동 관점에서 아래 순서대로 파헤쳐 보기로 하자 ​ 1. 열의 이동2.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5. 과자봉지, 껌종이, 초콜릿은 알루미늄으로 쌓여 있다.

 

Scandal 5. 과자봉지, 껌종이, 초코릿은 알루미늄으로 쌓여있다.

과자봉지, 껌종이, 초코릿 등의 포장지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반짝이라고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그 특별한 이유를 아래의 순서대로 알아 보자​1. 과자봉지2. 껌종이 포장지3. 초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6. 균형을 잡을 때 팔을 펼친다.

 

Scandal 6. 균형을 잡을 때 팔을 펼친다.

평균대를 걸을때나 외줄 타기를 할때와 같이 중심을 잡아야 할때 우리는 팔을 펼치거나 긴 장대를 들고 줄위를 걸으면 안정감도 있고 중심잡기가 쉬워진다.​​중심을 잡아야 할때는 몸을 움직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7. 달리는 기차에서 떨어진 공은 왜 뒤로 가지 않는걸까? 

 

Scandal 7. 달리는 기차에서 떨어진 공은 왜 뒤로 가지 않는걸까?

우리가 기차에서나 차에서 물건을 떨어 뜨리면 물건들은 기차 바닥에 떨어지고, 심지어 기차보다 더 빠른 비행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기차나 비행기가 빠른 속도로 달려가고 있는데 그 상태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8. 도로가 어떻게 반사를 할수 있을까?

 

Scandal 8. 도로가 어떻게 반사를 할수 있을까?

여름철 도로를 보면 사람들이나 자동차가 반사되어 보이는 경우가 있다.도로표면은 반사할수 없는 검정색인데 어떻게 반사되는 것일까?​    도로는 열의 이동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고 빛의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9. 겨울철 패딩이나 털옷은 왜 따뜻할까?

 

Scandal 9. 겨울철 패딩이나 털옷은 왜 따뜻할까

겨울철에 패딩이나 털옷을 입으면 다른 옷보다 더 따뜻하다는것을 느낀다. ​그러면 왜 패딩이나 털옷은 따뜻할까?표면적과 열의 이동이 관련되어 있다.아래 순서대로 하나 하나 알아 보도록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0. 금속은 광택이 난다.

 

Scandal 10. 금속이 광택이 나는 이유

우리는 물체의 색깔이 어떻게 해서 나타나는지 알아봤다. 빛은 왜 검은색에서 흡수되고 흰색은 반사 할까? 근데, 일반적인 물체들과 금속은 조금 다른것은 광택이 난다. 특히, 금은 노란색이라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1. 하늘은 파란색인데 노을은 왜 붉은색 일까?

 

Scandal 11. 하늘은 파란색인데 노을은 왜 붉은색일까?

하늘은 파란색인데 노을은 왜 붉은색 일까? ​  대기는 공기 분자, 먼지 입자,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가시광선의 파장에 비해 크기가 작아서 대기의 초미세 입자는 태양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2. 인공지능의 역사

 

Scandal 12. 인공지능의 역사

구글의 알파고로 세계는 인공지능, 딥러닝, 머신러닝, AI에 눈을 뜨게 되고, 최근에는 AI로 만들어진 버추얼 아이돌(이터니티)이나 생성형 AI(우탁)의 가수들까지 나오면서 우리는 어느때 보다 더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3 (Part 1). 달이 지평선에서 더 크게 보인다?

 

Scandal 13 (Part 1). 달이 지평선에서 더 크게 보인다?

오늘 같이 달이 크게 보이는 날에는 문득 필자가 한창 사진을 찍을 궁금했던 현상이다.달이 지평선에 뜰때는 크게 보이는데 하늘위로 올라갈수로 점점 작아지는 것 같다. 기분탓인가?기분탓이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3 (Part 2). 달이 지평선에서 더 크게 보인다?

 

Scandal 13 (Part 2). 달이 지평선에서 더 크게 보인다?

오늘같이 달이 크게 보이는 것이 과학적인 현상이 아니고 단순히 착시라는 것을 Part 1 에서 언급하였고Part 2에서 최근 연구 및 착시라는 증거를 어떻게 확인한것인지 알아 보자  Part 1  1. 달이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4. 인공위성은 왜 지구를 돌면서 떨어지지 않을까?

 

Scandal 12. 인공지능의 역사

구글의 알파고로 세계는 인공지능, 딥러닝, 머신러닝, AI에 눈을 뜨게 되고, 최근에는 AI로 만들어진 버추얼 아이돌(이터니티)이나 생성형 AI(우탁)의 가수들까지 나오면서 우리는 어느때 보다 더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5 (Part 1) 비눗방울은 왜 무지개색이 변화고 있을까?

 

Scandal 15 (Part 1). 비눗방울은 왜 무지개색이 변하고 있을까?

비눗방울의 무지개 색이 나타나고 변하는 원인에 대해서 먼저 Part 1을 순으로 알아 보도록 하자 Part 1  1.비눗방울 형성원리  2. 물방울은 왜 오래 유지 할수 없을까?         3. 비눗방울은 왜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5 (Part 1) 비눗방울은 왜 무지개색이 변화고 있을까?

 

Scandal 15 (Part 2). 비눗방울은 왜 무지개색이 변하고 있을까?

비눗방울의 무지개 색이 나타나고 변하는 원인에 대해서 Part 1 에 이어 Part 2에 대해서 알아보자   Part 1   1.비눗방울 형성원리 2. 물방울은 왜 오래 유지 할수 없을까? 3. 비눗방울은 왜 둥글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6. 나비 날개는 색소가 없는데 색깔은 화려하다.

 

Scandal 16. 나비 날개는 색소가 없는데 색깔은 화려하다.

나비 날개의 색깔은 어떻게  저렇게 화려하게 나타날수 있을까? 앞서 색깔은 물체 고유의 에너지 간격으로 가시광선대의 진동수를 가진 에너지 준위의 파장대를 흡수하면서 열로 바뀌고 나머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7 (Part 1).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

 

Scandal 17 (Part 1).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고 알고 있다. 진짜 되는것일까? 우선 음향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자.Part 11. Sound  란2. Sound 전달 원리3.흡음 (Sound absorption)Part 24.실내 음향5.방음(Soundproof)의  Foam6.계란판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7 (Part 2).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

 

Scandal 17 (Part 2).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

계란판은 방음이 되는지 Part 1에 이어서 Part 2에서 알아 보도록 하자 Part 11. Sound  란2. Sound 전달 원리3.흡음 (Sound absorption)Part 24.실내 음향5.방음(Soundproof)의  Foam6.계란판은 방음에 효과가 있을까?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8 (Part 1). 투명망토는 가능할까?

 

Scandal 18 (Part 1). 투명 망토는 가능할까?

해리포터에서 해리포터가 투명 망토를 입고 가는 장면이 나온다. 투명망토는 해리포터가 없는것처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것이다. 여기서 좀 더 생각해 봐야할 것은 망토가 투명하면 해리

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8 (Part 2), 투명망토는 가능할까?

 

Scandal 18 (Part 2). 투명 망토는 가능할까?

Part 1에서 투명 망토가 되는 조건들에서 이야기를 했다. Part 2에는 투명망토기술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이야기해보자 Part 11. 투명이 되는 조건2. 투명망토의 원리3. 빛의 굴절4. 음의 굴절률Part 24.

science-scandal.tistory.com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