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굴절3

Scandal 18 (Part 1). 투명 망토는 가능할까? 해리포터에서 해리포터가 투명 망토를 입고 가는 장면이 나온다. 투명망토는 해리포터가 없는것처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것이다. 여기서 좀 더 생각해 봐야할 것은 망토가 투명하면 해리포터가 보여야 하는데 해리포터를 보이지 않게 하는 기능이다.사람이 사물을 인지하는 원리는 Sandal 1에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Scandal 1 (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흔히들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시킨다고 한다.그런데, 검은색이라서 흡수하고 흰색이라서 반사하는 것이 아니다.주객이 전도된 표현이다.정확한 표현은 빛이 다 흡수가 되면 검은색으science-scandal.tistory.com  Part 11. 투명이 되는 조건2. 투명망토의 원리3. 빛의 굴절4. 음의 굴절률.. 2024. 6. 20.
Scandal 2 (Part 2). 무지개는 아치형이다 무지개의 원리와 왜 아치형으로 생기는지에 대해서 Part 1에서 설명을 했다Part 2에서는 쌍무지개와 3중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는지 알아보자 Part 1  1. 무지개의 발견2. 빛의 굴절3. 무지개의 원리4. 아치형의 무지개Part 2  3. 쌍무지개(double rainbow)의 원리4. 삼중 무지개 (Triple rainbow) 3. 쌍무지개(double rainbow)의 원리​무지개도 종종 보지만, 무지개를 볼때 옆에 희미하게 한개의 무지개가 더 있는것을 볼수 있다. 흔히들 쌍무지개라고 하는데, 쌍무지개를 보면서 대부분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했을 특이한 점은, 두 번째 아치가 첫번째 아치 외부에 표시되며 색상 순서가 반전되어 아치 안쪽에 빨간색이 표시된다​ 이는 빛이 물방울을 떠나기 전에 물방울 .. 2024. 5. 23.
Scandal 2 (Part 1). 무지개는 아치형이다 하늘에 무지개를 보는 일은 흔하지 않다. 그러나 폭풍이 지나가면 자주 나타나다 보니 무지개는 좋은 징조로 해석되기도 한다. 지상과 하늘을 영역을 잇는 다리, 흔히들 "무지개 다리"라고도 이야기 한다. ​이런 무지개는 대부분이 아치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면, 원래는 직선형태인데 지구가 둥글어서 아치형인지, 원 형태인데 나머지 반쪽이 어디간것인지, 아니면, 다른 원리가 있는것인지 알아보자.​Part 1  1. 무지개의 발견2. 빛의 굴절3. 무지개의 원리4. 아치형 무지개Part 2  3. 쌍무지개(double rainbow)의 원리4.삼중 무지개 (Triple rainbow)   우선 무지개가 왜 아치형태인지 알기 전에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를 알아 보자  ​​1. 무지개의 발견​​ "Rene Descarte.. 2024.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