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5 Article 19 (Part 2). 우리의 공간은 휘어져 있다. 우리의 공간은 휘어져 있고, Part 1에서 중력과 가속도가 같고, 가속도는 공간에 의해서 달라진다는것을 알았다. 그러면 Part 2 에서 가속도와 중력은 어디서 나오는 것인지 알아 보도록 하자. Part 11. 등가의 원리(중력과 가속도)2. 가속도Part 23. 일반 상대성 이론4. 휘어진 공간5. 중력에 의한 시간차이 3. 일반 상대성 이론 그러면 왜 떨어지는 것일까? 지구가 만들어내 휜 공간에 자연스럽게 흘러가고 있는것이다.뉴턴은 1687년 프린키피아에서 "질량이 큰 물체가 작은 물체를 끌어당긴다" 라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제시하였지만 중력이 어디에서 오는지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했다. 1916년 아인슈타인은 중력과 가속도는 같다는 등가의 원리와 우리의 공간이 휘어져 있어 휘어진 만큼 원주율.. 2024. 8. 3. Article 19 (Part 1). 우리의 공간은 휘어져 있다. 우리의 공간은 휘어져 있다면 이해가 되는 사람은 잘 없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익숙해서 인지를 못할뿐이지 휘어진 공간에서 살고 있다. 그 원인은 중력에 있다. 인공위성이 왜 떨어지지 않알까에서 중력에 대해서 알아 보았지만 조금더 알아 보도록 하자 Article 14. 인공위성은 떨어지지 않고 어떻게 계속 돌고 있을까? Article 14. 인공위성은 떨어지지 않고 어떻게 계속 지구를 돌수 있을까?인공위성은 떨어지지 않고 어떻게 계속 지구를 돌수 있는지 아래 순서대로 알아보자 1. 케플러의 발견2. 갈릴레오의 관성의 법칙3.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4. 인공위성이 떨어지지 않고 지구를science-scandal.tistory.com Part 1에서는 중력과 가속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Part 2에서 일.. 2024. 7. 20. Article 15 (Part 2). 비눗방울은 왜 무지개색이 변하고 있을까? 비눗방울의 무지개 색이 나타나고 변하는 원인에 대해서 Part 1 에 이어 Part 2에 대해서 알아보자 Part 1 1.비눗방울 형성원리 2. 물방울은 왜 오래 유지 할수 없을까? 3. 비눗방울은 왜 둥글까? 4. 비눗방울이 합쳐질 때는 특별한 패턴이 있을까? Part 2 5. 빛의 파동의 성질에 의한 간섭 5. 빛의 파동의 성질에 의한 간섭 빛이 파동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역사는 앞선 아래 Scandal 에서 이야기 했다. Article 3. 레이조 포인트는 주로 빨간색을 사용한다. Article 3. 레이저 포인트는 주로 빨간색을 사용한다.일반적으로 레이저는 빨간색을 많이 사용한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트도 빨간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빨간색 뿐만 아니라 .. 2024. 5. 22. Article 15 (Part 1). 비눗방울은 왜 무지개색이 변하고 있을까? 비눗방울의 무지개 색이 나타나고 변하는 원인에 대해서 먼저 Part 1을 순으로 알아 보도록 하자 Part 1 1.비눗방울 형성원리 2. 물방울은 왜 오래 유지 할수 없을까? 3. 비눗방울은 왜 둥글까? 4. 비눗방울이 합쳐질 때는 특별한 패턴이 있을까? Part 2 5. 빛의 파동의 성질에 의한 간섭 1. 비눗방울 형성 원리 비누와 물을 함께 섞으면 그 분자들은 모두 함께 섞이게 되고, 표면 장력을 줄여 액체를 더욱 신축성있게 만들수 있다. 비누분자는 탄소(C)와 수소(H) 원자의 긴 사슬로 구성되고. 사슬의 한쪽 끝에는 물 속에 있기를 좋아하는(친수성) 원자의 배열이 있고, 다른 쪽 끝은 물을 피하는 (소수성)원자 배열로 구성되어 비누와 물 용액에서 비누 분자의 소수.. 2024. 5. 15. Article 14. 인공위성은 떨어지지 않고 어떻게 계속 지구를 돌수 있을까? 인공위성은 떨어지지 않고 어떻게 계속 지구를 돌수 있는지 아래 순서대로 알아보자 1. 케플러의 발견2. 갈릴레오의 관성의 법칙3. 뉴턴의 만유인력의 법칙4. 인공위성이 떨어지지 않고 지구를 도는 이유 인공위성에 대해서 이야기 하기 전에 우선 유럽에서의 우주관에 대해서 알아 보자 유럽에서 우주관은 고대 그리스 부터 시작한다.그리스의 아리스토 텔레스는 중력이 하늘과 땅의 움직임이 서도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고 생각해서, 땅은 불완전하기에 짝이 없지만 하늘은 완벽하기 때문에 두개의 움직임이 서로 다르다는 것이다.즉, 천체는 완벽하여, 완벽한 원운동을 해서 자신의 궤도를 돌기 때문에 결코 서로 충돌하지 않지만 지상계는 불완전하여 끊임없이 변화가 일어난다는 것이다.아리스토 텔레스는 이러한 지상계가 물, 불, .. 2024. 5.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