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Article 12. 인공지능의 역사 구글의 알파고로 세계는 인공지능, 딥러닝, 머신러닝, AI에 눈을 뜨게 되고, 최근에는 AI로 만들어진 버추얼 아이돌(이터니티)이나 생성형 AI(우탁)의 가수들까지 나오면서 우리는 어느때 보다 더 많이 인공지능, AI라는 단어를 많이 듣고 있다.  사실 오래전인 1998년 사이버 가수 "아담" 이 국내 1호 사이버 가수였다. 사이버 가수 아담은 가수 박성철의 목소리에 원빈을 닮은 얼굴만 버추얼로 꾸며져 있어, 최근에 나오는 생성형 AI 가수와는 조금 차이가 있다.​  그럼 이런 기술들은 어떻게 나온 것일까? 인공지능(人工智能) 또는 AI(영어: artificial intelligence, AI)는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해서, 인간의 지능을 모방한 기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 2024. 4. 25.
Article 11. 하늘은 파란색인데 노을은 왜 붉은색일까? 하늘은 파란색인데 노을은 왜 붉은색 일까? ​  대기는 공기 분자, 먼지 입자, 물방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가시광선의 파장에 비해 크기가 작아서 대기의 초미세 입자는 태양광의 일부를 산란시키게 된다.  빛의 색깔 특성은 아래 포스팅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Article 1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 Article 1 (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흔히들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시킨다고 한다.그런데, 검은색이라서 흡수하고 흰색이라서 반사하는 것이 아니다.주객이 전도된 표현이다.정확한 표현은 빛이 다 흡수가 되면 검은색으science-scandal.tistory.com Article 1 (Part 2).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2024. 4. 25.
Article 10. 금속은 광택이 난다 우리는 물체의 색깔이 어떻게 해서 나타나는지 알아봤다. Article 1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 Article 1 (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흔히들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시킨다고 한다.그런데, 검은색이라서 흡수하고 흰색이라서 반사하는 것이 아니다.주객이 전도된 표현이다.정확한 표현은 빛이 다 흡수가 되면 검은색으science-scandal.tistory.com Article 1 (Part 2).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 Article 1 (Part 2).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Part 1에 이어서  그 원리를 보어의 원자 모델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Part 1    1. 빛의 특성 2. 색깔이 나타.. 2024. 4. 25.
Article 9. 겨울철 패딩이나 털옷은 왜 따뜻할까 겨울철에 패딩이나 털옷을 입으면 다른 옷보다 더 따뜻하다는것을 느낀다. ​그러면 왜 패딩이나 털옷은 따뜻할까?표면적과 열의 이동이 관련되어 있다.아래 순서대로 하나 하나 알아 보도록 하자​1. 열의 이동 2. 패딩의 공기층 3. 패딩은 공기층을 어떻게 유지 하는가? 4. 털소재(캐시미어, 울)    1. 열의 이동​열은 움직임은 전도, 대류, 복사의 세가지의 원리로 움직인다.전도(conduction)는 물질내에서 열이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도율이 높으면(대) 물질내에서 이동을 해도 온도가 유지된채로 이동하고, 전도율이 낮으면(소) 온도가 많이 떨어진다. 대류는(convection) 표면과 이와 다른 온도를 가지고 움직이고 있는 유체(공기 등) 사이에서 이동하는 열 전달 방식으로 전도보다는 열의 전달 속도.. 2024. 4. 25.
Article 8. 도로가 어떻게 반사가 될까? 여름철 도로를 보면 사람들이나 자동차가 반사되어 보이는 경우가 있다.도로표면은 반사할수 없는 검정색인데 어떻게 반사되는 것일까?​    도로는 열의 이동에 의해 굴절률이 변하고 빛의 진행방향이 바뀌면서 나타나는 현상인데 그 원리가 어떻게 되는지 아래의 순서대로 알아 보도록 하자 1. 온도와 밀도2. 스넬의 법칙3. 페르마의 원리  1. 온도와 밀도 공기가 뜨거워 지면 분자 운동이 활발해져서 부피는 커지고 밀도는 작아지면서 공기가 가벼워져서 위로 올라란다. 반대로 공기가  차가울수록 부피는 작아지고 밀도는 커지면서 무거워서 아래로 내려가게 된다.   도로 주변의 공기가 멀리  떨어진 공기보다 따뜻하여 밀도가 낮아지고, 도로가 뜨거울수록 공기의 굴절률은 점점 작아진다. 결국 일정한 압력에서 이상기체의 상태방.. 2024. 4. 24.
Article 7. 달리는 기차에서 떨어진 공은 왜 뒤로 가지 않는걸까? 우리가 기차에서나 차에서 물건을 떨어 뜨리면 물건들은 기차 바닥에 떨어지고, 심지어 기차보다 더 빠른 비행기에서도 마찬가지이다.​기차나 비행기가 빠른 속도로 달려가고 있는데 그 상태에서 물건을 떨어 뜨리면 물건들이 뒤로 가지 않고 바닥으로 그대로 떨어진다는게 어떻게 보면 당연하지만 어떻게 보면 이상한것 같기도 하다. 나는 기차나 비행기 바닥에 붙어 있어서 기차나 비행기 속도로 가지만, 물건은 손에서 떨어지는 순간 공중에 떠 있어 뒤로 가야하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든다.​이것이 상대성 이론으로  설명되는데 흔히들 상대성이론이라고 하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라고 생각할수 있다.하지만 아인슈타인 이전에 갈릴레이의 상대성 이론이 있었다. ​그럼 갈릴레이의 상대성 이론과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의 차이를 알.. 2024. 4. 24.
Article 6. 균형을 잡을 때 팔을 펼친다. 평균대를 걸을때나 외줄 타기를 할때와 같이 중심을 잡아야 할때 우리는 팔을 펼치거나 긴 장대를 들고 줄위를 걸으면 안정감도 있고 중심잡기가 쉬워진다.​​중심을 잡아야 할때는 몸을 움직이면 안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방향에 대한 관성을 유지할려고 하기 위한 행동이다. 외부에서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은 정지해 있는 상태를 유지할려고 하는 회전관성 또는 관성 모멘트라는 물리적 원리가 적용된다.   그러면 왜 팔을 벌리고 장대를 들고 있는것이 회전관성과는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일까 ?  몸체가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때 각운동량을 변경하려면 토크를 적용해야 한다 . 이는 각가속도 ( 각속도 의 변화율 ) 를 유발하는 데 필요한 토크의 양은 몸체의 관성 모멘트에 비례하여 작용하게 된다. 아래 순으로 알아 보도록.. 2024. 4. 24.
Article 5. 과자봉지, 껌종이, 초코릿은 알루미늄으로 쌓여있다. 과자봉지, 껌종이, 초코릿 등의 포장지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반짝이라고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그 특별한 이유를 아래의 순서대로 알아 보자​1. 과자봉지2. 껌종이 포장지3. 초콜릿 포장지4. 김밥 호일5. OLED 디스플레이1. 과자봉지 우리가 가장 흔히 볼수 있는것은 과자 봉지의 안쪽을 보면 은색의 알루미늄을 볼수 있는데 여기에 과학적 원리가 숨어 있다.  먼저 과자 봉지의 구조를 보면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인쇄층, 알루미늄, PP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 프로필렌)으로 구성되어 있다. 맨 바깥에 있는 PET는 인쇄가 용이하고 외부 압력과 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재료이다.​​과자 봉지에서 가장 중요한 알루미늄은 은색으로 보이는 것으로, 반짝이라고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빛과 산.. 2024. 4. 24.
Article 4. 창문이나 현관 문은 이중으로 한다. 창문은 이중창으로 현관문은 중문까지 설치하고 건물의 입구도 이중문으로 한다. 여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열의 이동 관점에서 아래 순서대로 파헤쳐 보기로 하자 ​ 1. 열의 이동2. 이중창의 효과3. 열기구의 원리4. 밤과 낮의 소리의 이동5. 공기의 이동6. 에어컨 바람 방향과 히터의 바람 방향 1.열의 이동​열의 움직임은 전도, 대류, 복사의 세가지의 원리로 움직인다. 전도(conduction)는 물질내에서 열이 전달하는 방식으로, 전도율이 높으면(대) 물질내에서 이동을 해도 온도가 유지된채로 이동하고, 전도율이 낮으면(소) 온도의 이동속도가 느려서 온도가 많이 떨어진다.  대류는(convection) 표면과 이와 다른 온도를 가지고 움직이고 있는 유체(공기 등) 사이에서 이동하는 열 전달 방식.. 2024.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