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Scandal 2 (Part 2). 무지개는 아치형이다 무지개의 원리와 왜 아치형으로 생기는지에 대해서 Part 1에서 설명을 했다Part 2에서는 쌍무지개와 3중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는지 알아보자 Part 1  1. 무지개의 발견2. 빛의 굴절3. 무지개의 원리4. 아치형의 무지개Part 2  3. 쌍무지개(double rainbow)의 원리4. 삼중 무지개 (Triple rainbow) 3. 쌍무지개(double rainbow)의 원리​무지개도 종종 보지만, 무지개를 볼때 옆에 희미하게 한개의 무지개가 더 있는것을 볼수 있다. 흔히들 쌍무지개라고 하는데, 쌍무지개를 보면서 대부분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했을 특이한 점은, 두 번째 아치가 첫번째 아치 외부에 표시되며 색상 순서가 반전되어 아치 안쪽에 빨간색이 표시된다​ 이는 빛이 물방울을 떠나기 전에 물방울 .. 2024. 5. 23.
Scandal 3. 레이저 포인트는 주로 빨간색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는 빨간색을 많이 사용한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트도 빨간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빨간색 뿐만 아니라 초록색, 파란색도 있다. 레이저에 빨간색을 많이 사용하는데는 이유가 있는데, 그전에 빛에 대해서 알아 보고 가자 1. 빛의 굴절2. 빛의 파동인가 입자인가? 3. 빛의 파동 특성4. 레이저 포인트가 빨간색인 이유 ​1.빛의 굴절​실제 우리가 보는 사물들은 빛의 직진성에 의해 태양빛이 반사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는 것만 볼수가 있다. 우리 눈으로 빛이 들어오지 않는다면 우리는 그것을 인지하지 못하다. 저 멀리 보이는 산들도 태양빛이 반사되고 반사되어 우리 눈까지 도달하기 때문에 보인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만큼 태양 빛의 에너지는 높다는 뜻이다. 맨 처음 빛에 .. 2024. 4. 24.
Scandal 1 (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 흔히들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시킨다고 한다.그런데, 검은색이라서 흡수하고 흰색이라서 반사하는 것이 아니다.주객이 전도된 표현이다.정확한 표현은 빛이 다 흡수가 되면 검은색으로 보이고, 반사를 하면 흰색으로 보이는것이다. 아래 순으로 알아 보도록 하자 Part 1 1. 빛의 특성2. 색깔이 나타나는 원리3. 빛의 흡수Part 2 4. 보어의 원자 모델5. 에너지 간격(Bandgap)6.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하는 이유?  ​1. 빛의 특성​빛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전파에서 감마선까지 다양하게 존재하는데 인간이 볼수 있는 것은 아주 좁은 영역인 가시광선만 가능하다. 가시광선 380nm~780nm로 빨간색부터 보라색까지 색깔을 가지고 있다. 그 중 빨간색은 620~750nm, 초록색 495~57.. 2024.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