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폰조착시2

Scandal 13 (Part 2). 달이 지평선에서 더 크게 보인다? 오늘같이 달이 크게 보이는 것이 과학적인 현상이 아니고 단순히 착시라는 것을 Part 1 에서 언급하였고Part 2에서 최근 연구 및 착시라는 증거를 어떻게 확인한것인지 알아 보자  Part 1  1. 달이 지평선에 있을때 거리  2. 대기 확대에 의한 크기 차이  3. 겉보기 거리 가설  4. 상대적 크기 가설(에빙하우스의 착시)Part 2  5. 폰조 착시 (Ponzo illusion)  6. 겉보기 크기 가설(수렴 소시증)  7. 최근 연구  8. 착시를 쉽게 확인할수 있는 방법은?  9. 왜 달은 수평선에서 노란색 또는 주황색으로 보일까?   5. 폰조 착시(Ponzo illusion)  이탈리아 심리학자인 마리오 폰조가 1911년에 시연하였는데, 한 쌍의 수렴하는 수평선 위에 두 개의 동일한 물.. 2024. 5. 25.
Scandal 13 (Part 1). 달이 지평선에서 더 크게 보인다? 오늘 같이 달이 크게 보이는 날에는 문득 필자가 한창 사진을 찍을 궁금했던 현상이다.달이 지평선에 뜰때는 크게 보이는데 하늘위로 올라갈수로 점점 작아지는 것 같다. 기분탓인가?기분탓이 아니라면 간단하게 생각해 보면,  지구자전에 의해 가까워진다는 생각이 드는데, 달 입장에서는 그 거리가 크기가 다르게 보일만큼 가까워질려면 엄청 가까워져야 한다, 그런데 매일 그렇게 가까워 진다는게 좀 이상하다  그럼 슈퍼문이 따로 있을 이유가 없다.​그래서 찾아 보고, 아래의 내용으로 정리해 보았다.  Part 1 1. 달이 지평선에 있을때 거리  2. 대기 확대에 의한 크기 차이  3. 겉보기 거리 가설  4. 상대적 크기 가설(에빙하우스의 착시) Part 2  5. 폰조 착시 (Ponzo illusion)  6. 겉보.. 2024.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