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평선2

Scandal 13 (Part 1). 달이 지평선에서 더 크게 보인다? 오늘 같이 달이 크게 보이는 날에는 문득 필자가 한창 사진을 찍을 궁금했던 현상이다.달이 지평선에 뜰때는 크게 보이는데 하늘위로 올라갈수로 점점 작아지는 것 같다. 기분탓인가?기분탓이 아니라면 간단하게 생각해 보면,  지구자전에 의해 가까워진다는 생각이 드는데, 달 입장에서는 그 거리가 크기가 다르게 보일만큼 가까워질려면 엄청 가까워져야 한다, 그런데 매일 그렇게 가까워 진다는게 좀 이상하다  그럼 슈퍼문이 따로 있을 이유가 없다.​그래서 찾아 보고, 아래의 내용으로 정리해 보았다.  Part 1 1. 달이 지평선에 있을때 거리  2. 대기 확대에 의한 크기 차이  3. 겉보기 거리 가설  4. 상대적 크기 가설(에빙하우스의 착시) Part 2  5. 폰조 착시 (Ponzo illusion)  6. 겉보.. 2024. 4. 25.
Scandal 2 (Part 1). 무지개는 아치형이다 하늘에 무지개를 보는 일은 흔하지 않다. 그러나 폭풍이 지나가면 자주 나타나다 보니 무지개는 좋은 징조로 해석되기도 한다. 지상과 하늘을 영역을 잇는 다리, 흔히들 "무지개 다리"라고도 이야기 한다. ​이런 무지개는 대부분이 아치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면, 원래는 직선형태인데 지구가 둥글어서 아치형인지, 원 형태인데 나머지 반쪽이 어디간것인지, 아니면, 다른 원리가 있는것인지 알아보자.​Part 1  1. 무지개의 발견2. 빛의 굴절3. 무지개의 원리4. 아치형 무지개Part 2  3. 쌍무지개(double rainbow)의 원리4.삼중 무지개 (Triple rainbow)   우선 무지개가 왜 아치형태인지 알기 전에 무지개가 생기는 원리를 알아 보자  ​​1. 무지개의 발견​​ "Rene Descarte.. 2024.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