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이언스 스캔들24

Scandal 18 (Part 2). 투명 망토는 가능할까? Part 1에서 투명 망토가 되는 조건들에서 이야기를 했다. Part 2에는 투명망토기술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이야기해보자 Part 11. 투명이 되는 조건2. 투명망토의 원리3. 빛의 굴절4. 음의 굴절률Part 24. 메타 물질5. 카펫 망토6. 투명망토 사진들의 원리  4. 메타물질 (Metamaterial)  메타라는 말을 요즘 많이 들어봤을것 같다. 메타 물질(Metamaterial)은 간단하게 자연에서 만들수 없는 특성 즉 굴절률을 자연계의 물질로 설계된다. 메타물질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같은 일반물질로 형성된 복합 요소 집합체로 파장보다 작은 규모의 반폭패턴으로 설계된다는 것이다.  메타물질의 특성은 기본 물질의 특성이 아니라 그들의 구조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메타물질이 정확한 모양, 기하학적 .. 2024. 6. 23.
Scandal 18 (Part 1). 투명 망토는 가능할까? 해리포터에서 해리포터가 투명 망토를 입고 가는 장면이 나온다. 투명망토는 해리포터가 없는것처럼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것이다. 여기서 좀 더 생각해 봐야할 것은 망토가 투명하면 해리포터가 보여야 하는데 해리포터를 보이지 않게 하는 기능이다.사람이 사물을 인지하는 원리는 Sandal 1에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Scandal 1 ( Part 1).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흔히들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시킨다고 한다.그런데, 검은색이라서 흡수하고 흰색이라서 반사하는 것이 아니다.주객이 전도된 표현이다.정확한 표현은 빛이 다 흡수가 되면 검은색으science-scandal.tistory.com  Part 11. 투명이 되는 조건2. 투명망토의 원리3. 빛의 굴절4. 음의 굴절률.. 2024. 6. 20.
Scandal 17 (Part 2).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 계란판은 방음이 되는지 Part 1에 이어서 Part 2에서 알아 보도록 하자 Part 11. Sound  란2. Sound 전달 원리3.흡음 (Sound absorption)Part 24.실내 음향5.방음(Soundproof)의  Foam6.계란판은 방음에 효과가 있을까?7.최근 계란판을 활룡한 방음연구  4. 실내 음향 음향의 특성 및 흡음을 반영하여 공연장의 실내 홀의 목적 및 용도에 맞게 크기, 천장, 바닥, 벽, 확산판, 반사판 등을 설계한다.     무대에서 음향의 반사를 위해 홀의 크기에 따란 반사판의 모양과 각도 그에 맞게 설계한다.  내부 홀도 무대와 목적에 따라 그에 맞는 흡음과 반사가 되도록 설계한다.  5. 방음(Soundproof)의  Foam 방음은 음파가 공간으로 들어오거나 나.. 2024. 6. 8.
Scandal 17 (Part 1).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 계란판은 방음이 된다고 알고 있다. 진짜 되는것일까? 우선 음향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자.Part 11. Sound  란2. Sound 전달 원리3.흡음 (Sound absorption)Part 24.실내 음향5.방음(Soundproof)의  Foam6.계란판은 방음에 효과가 있을까?7. 최근 계란판을 활룡한 방음연구    1. Sound 란? 소리는 빛과 같은 파동 특성을 가지고 있다. 맥스웰이 전자기파 속도를 계산하고, 빛의 속도와 전자기파의 속도가 같다는것을 알고 빛은 온전한 모습이 아니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이루어진 전자기파의 일부라고 하였다.  이런 맥스웰 이론은 그가 세상을 떠난 후인 1888년, 하인리히 헤르츠가 전자기파를 발견하고 빛이 전자기파로 완전하게 입증 되었다. 당시 전자기파는 헤르츠.. 2024. 6. 8.
Scandal 16. 나비 날개는 색소가 없는데 색깔은 화려하다. 나비 날개의 색깔은 화려한 색깔을 띄고 있다. 색깔은 앞서 물체 고유의 에너지 간격으로 가시광선대의 진동수를 가진 에너지 준위의 파장대를 흡수하면서 열로 바뀌고 나머지를 방출하는데 방출하는 색이 우리가 보는 색깔로 나타난다.이런 물질들을 색소라고 부른다. 자세한 내용은 Scandal 1 (Part 1, Part 2) 에서 확인해 보기 바란다.  Scandal 1 ( Part 1). 빛은 왜 검은색에서 흡수되고 흰색은 반사 할까?흔히들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시킨다고 한다.그런데, 검은색이라서 흡수하고 흰색이라서 반사하는 것이 아니다.주객이 전도된 표현이다.정확한 표현은 빛이 다 흡수가 되면 검은색으science-scandal.tistory.com  Scandal 1 (Part 2). 빛은 왜 검은색.. 2024. 6. 2.
Scandal 13 (Part 2). 달이 지평선에서 더 크게 보인다? 오늘같이 달이 크게 보이는 것이 과학적인 현상이 아니고 단순히 착시라는 것을 Part 1 에서 언급하였고Part 2에서 최근 연구 및 착시라는 증거를 어떻게 확인한것인지 알아 보자  Part 1  1. 달이 지평선에 있을때 거리  2. 대기 확대에 의한 크기 차이  3. 겉보기 거리 가설  4. 상대적 크기 가설(에빙하우스의 착시)Part 2  5. 폰조 착시 (Ponzo illusion)  6. 겉보기 크기 가설(수렴 소시증)  7. 최근 연구  8. 착시를 쉽게 확인할수 있는 방법은?  9. 왜 달은 수평선에서 노란색 또는 주황색으로 보일까?   5. 폰조 착시(Ponzo illusion)  이탈리아 심리학자인 마리오 폰조가 1911년에 시연하였는데, 한 쌍의 수렴하는 수평선 위에 두 개의 동일한 물.. 2024. 5. 25.
Scandal 2 (Part 2). 무지개는 아치형이다 무지개의 원리와 왜 아치형으로 생기는지에 대해서 Part 1에서 설명을 했다Part 2에서는 쌍무지개와 3중 무지개는 어떻게 생기는지 알아보자 Part 1  1. 무지개의 발견2. 빛의 굴절3. 무지개의 원리4. 아치형의 무지개Part 2  3. 쌍무지개(double rainbow)의 원리4. 삼중 무지개 (Triple rainbow) 3. 쌍무지개(double rainbow)의 원리​무지개도 종종 보지만, 무지개를 볼때 옆에 희미하게 한개의 무지개가 더 있는것을 볼수 있다. 흔히들 쌍무지개라고 하는데, 쌍무지개를 보면서 대부분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했을 특이한 점은, 두 번째 아치가 첫번째 아치 외부에 표시되며 색상 순서가 반전되어 아치 안쪽에 빨간색이 표시된다​ 이는 빛이 물방울을 떠나기 전에 물방울 .. 2024. 5. 23.
Scandal 1 (Part 2). 빛은 검은색을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한다 Part 1에 이어서  그 원리를 보어의 원자 모델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Part 1    1. 빛의 특성 2. 색깔이 나타나는 원리 3. 빛의 흡수   Part 2    4. 보어의 원자 모델  5. 에너지 간격(Bandgap)  6. 검은색은 흡수하고 흰색은 반사하는 이유?     4. 보어의 원자 모델​빛을 흡수하고 방출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원자의 에너지 준위의 이해가 필요하여, 보어의 원자 모델의 탄생에 대해서 알아 보자20세기 초까지도 원자는 미지의 덩어리였고, 1803년 존 돌턴이 "모든 물질은 더이상 쪼개질수 없는 작은 입자"의 원자로 되어 있다는 원자설을 내놓았고, 빌헬름 뢴트겐은 금속이 원자에 부딪칠때 나오는 짧은 파장이 손을 투시할수 있다는 것으로 X 선을 발견했고 마리퀴리는 원자.. 2024. 5. 22.
Scandal 15 (Part 2). 비눗방울은 왜 무지개색이 변하고 있을까? 비눗방울의 무지개 색이 나타나고 변하는 원인에 대해서 Part 1 에 이어 Part 2에 대해서 알아보자   Part 1   1.비눗방울 형성원리 2. 물방울은 왜 오래 유지 할수 없을까? 3. 비눗방울은 왜 둥글까? 4. 비눗방울이 합쳐질 때는 특별한 패턴이 있을까? Part 2   5. 빛의 파동의 성질에 의한 간섭  5. 빛의 파동의 성질에 의한 간섭 빛이 파동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역사는 앞선 아래 Scandal 에서 이야기 했다. Scandal 3. 레이조 포인트는 주로 빨간색을 사용한다. Scandal 3. 레이저 포인트는 주로 빨간색을 사용한다.일반적으로 레이저는 빨간색을 많이 사용한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레이저 포인트도 빨간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빨간색 뿐만 아니라 .. 2024. 5. 22.